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일본의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여성이 재대로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26일 일본 언론 마이니치신문은 노무라 종합 연구소의 추계를 인용해 사실상 실업자는 2020년 12월 기준 90만명에 이른다.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에서 흘러나와 고립돼 있는 실태로 조속한 지원체제가 필요하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노무라 종합 연구소는 지난해 12월 파트타임 업무나 아르바이트로 근무하는 20~59세의 여성 5만5889명을 대상으로 취업 실태를 조사했다.
일본의 파트타임 업무나 아르바이트로 근무하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조사 대상 중 10.4%는 업무량(시프트)가 50% 이상 줄었고, 7.7%는 휴업수당도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파트타임이나 아르바이트로 근무하는 여성 대다수는 수입은 크게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휴직자'나 '실업자'에 포함되지 않아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총무성의 '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일본에서 파트타임으로 근무하는 여성은 1163만명으로 이같이 수입이 크게 줄어든 '실질적 실업자'는 90만명에 이른다. 또한 실질적 실업자를 실업자로 구분지을 경우 일본 여성의 실업률은 2.3%에서 5.2%까지 치솓는다.
실절적 여성 실업자 중 60%는 가구 연수입이 400만엔(한화 약 4200만 원)이 안되는 상황이며, 실질적 여성 실업자 본인이 가계를 지탱하고 있는 경우는 약 5% 가량으로 추산됐다.
또한 이 중 80%가 미래 가계에 대해 "불안하다"고 답했고, 60%는 "앞으로 살아가는 것이 어렵다고 느낀다"고 답했다.
일본 노동기준법에 따르면 기업의 사정으로 휴업을 하는 경우 평균임금의 60% 이상을 휴업수당으로 지불해야 한다.
또한 기업이 휴업수당을 지불하는 경우 정부는 기업에 고용조성금을 통해 지원해야하며, 휴업수당은 파트타임 시프트(업무량)가 줄어드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신문은 이같은 노동기준법을 알고 있는 여성은 20%에 그친다고 전했다.
또한 자금이 부족하거나, 신청서류 작성이 불가하다는 이유로 휴업수당을 지불하지 않는 기업도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일 정부는 코로나19 대응 휴직지원금을 마련했지만 이러한 지원금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 여성은 10가량으로 알고 있음에도 10명 9명은 받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