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양국은 21일(현지시간) 정상회담 이후 공동성명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은 대만 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했다.
양국은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남중국해 및 여타 지역에서 평화와 안정, 합법적이고 방해받지 않는 상업 및 항행·상공비행의 자유를 포함한 국제법 존중을 유지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날 자오 대변인이 밝힌 중국 정부의 입장은 지난달 미국·일본 정상회담 때와 비교하면 강도가 약한 편이다.
미일 공동성명에서는 대만 문제 외에도 홍콩과 신장 위구르자치구, 티베트, 남중국해, 센카쿠 열도 문제 등도 거론됐는데 중국 외교부는 "중국의 내정을 거칠게 간섭하고 국제관계 기본 준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었다.
中 "대만 문제, 어떤 외부 세력 간섭 용납할 수 없어"

이에 중국 정부가 내정 간섭을 용납할 수 없다며 반발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공동성명 내용에 우려를 표한다"며 "대만 문제는 순수한 중국 내정"이라면서 "어떤 외부 세력의 간섭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자오 대변인은 대만과 남중국해 문제가 공동성명에 들어간 것을 비판하면서 "관련 국가들은 대만 문제에서 언행을 신중해야 하며 불장난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오 대변인은 "한미 관계 발전은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돼야지 그 반대여서는 안 되며, 중국을 포함한 제3자의 이익을 해쳐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자오 대변인은 남중국해와 관련해서는 "각국이 국제법에 따라 남중국해에서 항행과 비행의 자유를 누리고 있으므로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공동성명에서 들어간 '국제 질서를 위협하는 행위 반대', '포용적이고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지역을 유지' 등의 문구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자오 대변인은 "하나 또는 몇 개 나라가 일방적으로 국제질서를 정의할 자격은 없고 자기의 기준을 남에게 강요할 자격은 더더욱 없다"면서 "중국은 관련 국가가 타국을 겨냥한 4자 체제, 인도·태평양 전략 등 배타적 소집단을 만드는 것에 시종 반대한다. 이런 행동은 성공하지 못 할 것이며 출구도 없다"고 말했다.
靑 "中경제 보복, 앞서 나간 예측"
청와대는 25일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에 대만 문제가 처음 언급된 것을 계기로 중국에서 격앙된 반응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때와 같은 경제 보복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호승 청와대 정책실장은 이날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전화 인터뷰에서 '사드 때처럼 경제보복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없겠는가'라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본다"고 답했다.
이 실장은 '그때(2016년 사드 배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다는 것인가'라는 사회자의 거듭된 질문에 "너무 앞서나간 예측이라고 본다"며 "그런 점에서 말씀드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실장은 "중국은 지리적으로도 인접해 있고 무역과 해외 투자 면에서 매우 중요한 경제 협력 대상국"이라며 "한국은 중국과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