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쿄올림픽 개막이 한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도쿄올림픽 공식 상품 매출 하락에 대해 외부로 노출시키지 말라는 이른바 "발언 금지 명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24일 일본 미디어 아에라돗트는 팔리지 않는 올림픽 상품에 대해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발언 금지 명령을 내렸다며 업체 측도 대량의 상품을 쓰레기화하는 것을 각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일본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와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공식 상품을 제조하는 업체는 약 90곳으로 메이커 소매 가격의 5~7%를 로열티로 조직위원회에 지불하고 있다.
단 실제 판매액의 5~7%가 아닌 생산된 상품의 총 가격의 5~7%를 지불한다. 또한 소매 가격의 2%는 판촉 지원을 위한 경비로 지출된다.
그러나 업체 측은 "조직위에서 (언론 노출)을 허가하지 않아 취재에 응하지 않는다", "상품의 매출에 관한 것은 외부에 말하지 못한다" 등의 답변만을 내놓았다고 아에라돗트 측은 전했다.
아에라돗트 측은 익명을 요구한 한 업체 관계자를 인용해 지난해 봄쯤 "상품 판매에 관한 것은 외부에 말하지 말라"는 발언 금지 명령을 들었다고 전했다.
아에라돗트 측에 따르면 이 업체 관계자는 "갑자기 연락이 왔고, 문서로 통지를 받은 것은 아니고, 구두로 들었기 때문에 진의는 모르겠지만, 올림픽에 대해 나쁜 말은 하지 말라는 입막은 같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상세한 숫자에 대해 말하지는 못한다면서도 1/3도 판매가 어려워 상당한 규모의 적자가 생길 것이라며 "다른 업체 모두 같은 상황에 고민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우리 직원도 조직위에서 매출 정보를 내놓지 말아달라는 취지의 연락을 받았다"면서도 "매출은 전혀 안 나온다. 얼마나 팔린지 숫자를 낼 수 없을 정도로 팔리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계약 전 미리 상품의 제조 수를 추정했고, 이미 로열티를 지불했다"며 "이익이 날줄 알고 계약했기 때문에 올림픽이 중단 돼도 1엔도 반환되지 않는다"고 한탄했다.
[저작권자ⓒ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