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시진핑 정부가 중국 부동산 대기업 헝다 그룹을 파탄 직전에 내몰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27일 외신 파이낸셜타임즈는 이같이 보도하면서 시진핑 국가 주석은 자신의 임기에 최대급이 되는 경제적 도박에 나섰다고 전했다.
시진핑 정부는 헝다그룹의 상황을 안정시킬 뜻을 보이지 않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익명을 요구한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정부 내부에서는 헝다그룹에 대해 매우 염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정부 관계자는 중국의 채무 잔고 대 국내총생산(GDP) 비율은 2년도 안되서 250%에서 290%로 급상승했다고 설명하면서도 "이것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는다"고 경고했다.
앞서 지난 22일 홍콩 증시는 급락했지만 중국 증시는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헝다그룹이 지난 23일 기한을 맞이한 인민원기준채의 이자지불을 실시한다고 밝혔기 때문. 반면 같은 23일 기한을 맞이한 달러 표시 국채의 이자 지불에 대해서는 확약하지 못했다.
또한 이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국내 금융시스템에 공제해 1100억 위안(한화 약 20조원)을 공급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유동성 공급 규모는 8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헝다그룹의 은행 채권자 공급업자에 대한 채무는 추산 3000억 달러에 이르고, 자사 종업원을 포함한 추정 8만여명의 개인투자자에게 고이율 이재상품을 60억 달러 가량 팔아왔다. 약 160만채의 주택과 관련해서도 구입자는 선불금을 지불했지만, 인도는 아직 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中, 쉬자인 놓고 헝다그룹'만' 구제해야
헝다그룹은 중국 GDP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부동산 업계에서 매출 2위를 기록하고 있다.
거액의 부채를 지고 있는 헝다그룹이 파산하면 부동산의 구매자나 개인 투자자뿐만 아니라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의 금융 안전이나 경제성장에 중대한 영향이 끼칠 것으로 보인다.
시진핑 정부는 이같은 중요한 경제의 원동력이 파탄나는 것을 용인하고 싶지 않은 반면, 국가주도의 구제책을 마련하는 등 비싼 선례를 만들어 버리는 것도 우려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헝다그룹과 금융규제 당국에 정통한 한 관계자를 인용해 긴축정책 때문에 많은 부동산기업들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개입해 헝다그룹을 구제해준다면, 또다른 대형 부동산 기업들 역시 구제요청을 할 것이라는 것.
시진핑 국가주석은 앞서 8월 '공동부유'를 내걸은 내정방침을 밝혔던 바 있다. 중국 부호 순위 5위를 기록했던 헝다 그룹의 창업자이자 회장인 쉬자인 대표를 구제하는 것은 시진핑 정부가 내걸은 '공동부유'의 슬로건에 어긋난다.
중국 정부는 쉬 대표를 구제하지 않은 채, 헝다그룹만을 구제해야된다는 과제 앞에 놓였다.
[저작권자ⓒ 디에코. 무단전재-재배포 금지]